생산성 앱은 대부분 무료 플랜을 제공하며 시작하기 쉽습니다. 하지만 쓰다 보면 기능의 한계를 느끼게 되고, “지금 유료로 전환할 시점일까?”를 고민하게 되죠.
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많이 쓰이는 앱 4가지를 중심으로, 무료 플랜에서 할 수 있는 것과 유료 플랜에서 가능한 것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비교해드리겠습니다.
1. ✅ Notion – 문서 작성은 OK, 협업은 부족
무료 플랜에서 가능한 것
- 무제한 페이지 생성
- 데이터베이스, 템플릿, 칸반보드 사용 가능
- 최대 10명 게스트 초대 가능
한계점
- 히스토리 확인 불가 → 실수로 삭제 시 복원 어려움
- 게스트 초대 인원 제한 → 10명 이상 팀에는 불편
- 팀 권한 관리 X → 업무 분담/역할 구분 어려움
예시: 3~4명이 운영하는 소규모 스터디에는 무료로 충분하지만, 마케팅/기획 등 협업 부서가 나뉜 팀은 유료 전환 필요
2. ✅ Trello – 개인 사용은 충분, 팀 확장엔 제약
무료 플랜에서 가능한 것
- 무제한 보드 생성
- 보드당 1개 확장 기능(Power-Up) 추가
- 간단한 자동화 기능 일부 사용 가능
한계점
- 여러 확장 기능 동시 사용 불가
- 팀 단위 권한 설정 없음
- 복잡한 자동화·통합 불가
예시: 개인 일정 관리, 프리랜서 프로젝트 추적에는 무료로 충분하지만, 복잡한 워크플로우가 필요한 기업 업무에는 유료 전환 필요
3. ✅ Todoist – 할 일 관리는 OK, 리마인더는 유료 전용
무료 플랜에서 가능한 것
- 최대 5개의 프로젝트 생성
- 태그 없이 기본적인 할 일 정리 가능
한계점
- 리마인더 기능 없음 → 마감일 관리 어려움
- 프로젝트 5개 제한 → 클라이언트가 많으면 부족
- 태그·필터 기능 없음 → 작업 분류 불가
예시: 개인 공부나 가계부 관리 등은 무료로 충분하지만, 여러 팀이나 고객과 병렬로 작업하는 프리랜서라면 유료 필요
4. ✅ Canva – 간단한 디자인은 OK, 브랜드 작업엔 부족
무료 플랜에서 가능한 것
- 기본 템플릿 수천 개 이용
- 기본 요소(아이콘, 폰트)로 간단한 카드뉴스 제작 가능
한계점
- 고급 템플릿 제한 → 템플릿 선택의 폭 좁음
- 배경 제거 기능 없음 → 인물 이미지 활용 불편
- 브랜드 키트 설정 불가 → 일관된 디자인 어려움
예시: SNS 개인 콘텐츠 제작자는 무료로 충분하지만, 브랜드 로고·컬러 통합 관리가 필요한 기업 계정은 유료 전환 필요
📌 총정리 – 무료 vs 유료 플랜 한눈에 보기
앱 | 무료로 충분한 경우 | 유료가 필요한 시점 |
---|---|---|
Notion | 개인 문서/프로젝트 정리 | 팀 협업, 변경 히스토리 필요 |
Trello | 개인 일정/To-Do 관리 | 자동화 & 확장 기능 다수 필요 |
Todoist | 간단한 할 일 관리 | 알림, 프로젝트 분류, 태그 활용 시 |
Canva | SNS용 카드뉴스, 썸네일 | 브랜드 자산 제작 및 고급 디자인 |
💬 마무리하며
무료 플랜만으로도 대부분의 생산성 앱은 훌륭한 시작점이 됩니다. 하지만 쓰임새가 늘어나고 팀과 프로젝트가 확장될수록 유료 기능의 효율이 분명히 드러납니다.
✅ 체크포인트:
- 📍 공유 인원이 많아졌다면 → 유료 고려
- 📍 반복 업무가 많다면 → 자동화 기능 확인
- 📍 결과물 품질이 중요한 작업이라면 → 고급 기능 필요
“무료는 시작일 뿐, 진짜 효율은 선택에서 나옵니다.” 오늘의 비교를 통해 나에게 꼭 맞는 선택을 해보세요!